728x90 조약봉3 호남정맥 제1구간 모래재에서 슬치휴게소까지 산행 후기 산행지 : 전라북도 진안군과 완주군 그리고 임실군의 호남정맥 마루금 일대산행날자 : 2010년 09월 18과 19일 (토요일과 일요일 무박 2일 산행)산행날씨 : 새벽엔 짙은 안개 후 아침부터 맑고 화창하였으며 간간히 바람 불었던 무더운 늦 여름 날씨산행온도 : 영상 17도에서 영상 29도산행인원 : B 산악회 36명과 함께 나 홀로산행코스 : 모래재-모래재터널-571봉-임도-산죽밭-곰재안내판-607봉-곰재(곰재전적비)-560봉-익산 포항간 고속도로 터널 위-묵밭 잡풀지대-오두재-산죽지대-이정표(정상 1.7 Km, 원불교 훈련원 0.7 Km, 헬기장 1.6 Km)-55번 삼각점(?)-제2쉼터-바위 암봉지대-전망바위-이정표(정상 0.5 Km, 헬기장 2.8 Km)-만덕산 갈림 삼거리(해발 745미터 이정표.. 2010. 9. 19. 호남정맥 제1구간 모래재에서 슬치재까지 산행안내 호남정맥의 시발점에 서서, 백두대간과 정맥이란 산줄기를 잇는 산행에 눈을 뜨고 그 산줄기에 올라 단편적인 산행에서는 보지 못하고 느끼지 못했던 산행의 고통과 희열을 알았기에 스스로에게 한 약속을 지키기 위해 이렇게 멀고도 긴 호남땅으로 들어 그 맥 잇기 산행을 시작하려 한다.호남의 중심부와 변방을 넘나들며 때로는 고산준령을 넘고 또 때로는 대평원을 가로질러 달리며 이 산객이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을 기대하며 즐거운 마음으로 이렇게 또 다른 맥을 정리해 본다. 호남정맥이란 ??? 우리나라 서남부 문화권을 나누는 의미 있는 경계선으로 산경표를 보면 백두대간에서 금남호남정맥이 분기하고 그 산줄기가 다시 금남정맥과 호남정맥으로 나뉘며 호남정맥은 그 시작점이 웅치(현재 지명으로 곰치재).. 2010. 9. 15. 마지막 제4구간 강정골재에서 모래재까지 산행 공지 산우님들에게, 이제 잠시 백두대간에 대한 아쉬움을 접고 그동안 그렇게도 그리워했던 정맥길에 다시 발길을 들여 놓는다.그 첫번째 정맥길이 바로 금남호남정맥 산행으로 백두대간 산행중 만났던 장수의 영취산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가 장안산 및 팔공산과 마이산 그리고 부귀산을 지나 주화산에서 호남정맥과 금남정맥을 보내는 3정맥 분기점까지의 약 64 Km를 네번에 나눠 걸어 보는 시간으로 가져 본다. 관심있는 제한된 산우님만 모시고 지도 한장 그리고 나침판 하나 들고 어렵고 먼 길이지만 의미있는 시간을 위해 장도를 떠나 볼까 한다. 금남호남정맥의 개요백두대간이 내려오다 덕유산을 일으키고 육십령을 넘어 장수 영취산에서 북서쪽으로 무룡고개, 장안산, 수분령, 신무산, 팔공산, 진안성수산, 마이산, 부귀산을 지나 완주.. 2009. 12. 10. 이전 1 다음 728x90